주린이 주식공부

[주린이 주식용어] 주식거래시간 정규시간 동시호가 시간외종가 단일가 뜻

공공정책 인사이드 2020. 6. 27. 13:43
728x90
반응형

최근에 주식을 시작한 주린이(주식 어린이)들을 위한 주식 용어를 알아보는 코너입니다. 저와 함께 주식 관련 용어들을 처음부터 하나하나 쉽게 알아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주 기본적인 용어부터 하나하나 알아갈 예정입니다. 우선 지난 포스팅에서는 시장가 보통가 시가 종가 호가 단일가 등의 용어 뜻에 대해서 포스팅했습니다. 관련 내용은 하기 링크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6/27 - [분류 전체보기] - [주린이 주식용어] 시장가 보통가 시가 종가 호가 단일가 뜻

 

[주린이 주식용어] 시장가 보통가 시가 종가 호가 단일가 뜻

최근에 주식을 시작한 주린이(주식 어린이)들을 위한 주식 용어를 알아보는 코너입니다. 저와 함께 주식 관련 용어들을 처음부터 하나하나 쉽게 알아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주

gonggongpolicy.tistory.com

한국 주식 시장의 거래 가능 시간을 뜻하는 정규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입니다. 이 시간 동안에 개인은 앞선 포스팅에서 설명드렸던 HTS, MTS, WTS를 활용해 자유롭게 주식의 매매가 가능합니다.

 

정규시간 이외의 거래 가능 시간 형태로는 시간외 종가 거래가 있습니다. 정규시간 이전과 이후에 각각 하루 1회씩 고정된 가격에서 수요와 공급이 있을 때 거래되는 형태입니다. 장전 시간외 종가 거래는 접수는 8시 15분부터이며, 거래는 오전 8시 30분부터 오전 8시 40분까지는 전일의 종가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장후에도 시간외 종가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장후 시간외종가 거래는 당일 종가로 거래하게 됩니다. 접수는 3시 30분부터이며, 거래는 오후 3시 40분부터 오후 4시까지입니다. 체결시간은  두 방식 모두 물량이 있어야 체결되며, 당연히 물량이 없으면 체결되지 않고 시간이 넘어가면 자동 주문 효력이 사라집니다.

 

다음으로는 동시호가 거래 방식이 있습니다. 단순히 용어적인 의미로만 본다면 유가증권 매매거래시에 동시에 접수된 호가를 뜻하거나 시간의 선후가 분명하지 않은 호가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용어적 의미로만 보면 선뜻 이해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동시호가 거래 방식은 장 시작 때 거래가 폭발적으로 몰려 주가의 왜곡이 발생할 수도 있는 부분에 대한 완충의 영역이라고도 합니다. 또한 주식 시장에서는 동시호가는 일종의 증시의 시가와 종가를 결정하게되는 영역이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시기 쉬울 것 같습니다. 따라서 주문 시간은 오전 8시 30분부터 오전 9시, 오후 3시 20분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각각 이루어집니다. 쓰이는 동시호가 거래는 장의 시작전이나 장 마감 때 주문을 미리 받아서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고객이 동시호가 매매를 원한다면 필요한 매수 혹은 매도 수량과 가격을 결정하면 됩니다.

 

동시호가 체결 방식은 체결 되는 우선 순위가 일반적 거래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정규 시장에서는 동일한 가격으로 매수 혹은 매도 주문을 넣는다면 시간상 먼저 주문을 신청한 사람이 우선이고 수량에 차별은 두지 않습니다. 하지만 동시호가 거래에 있어서는 가격이 가장 우선입니다. 낮은 가격의 매도 주문이거나, 높은 가격의 매수 주문일 수록 우선합니다. 그리고 같은 가격일 때는 먼저 주문한 것이 우선이며, 동일 시각에 주문 했을 경우에는 수량이 많은 주문을 우선합니다.

 

끝으로 시간외 단일가 거래가 있습니다. 오후 4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진행되며, 10분 단위로 총 12회 거래가 진행됩니다. 호가는 당일 종가의 플러스 마이너스 10%로 10분 마다 체결되며, 당연한 말이지만 가격이 맞아야 체결됩니다. 동시호가와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