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린이 주식공부

[주린이 주식용어] PER BPS PBR이란? 뜻과 의미

공공정책 인사이드 2020. 7. 3. 16:37
728x90
반응형

최근에 주식을 시작한 주린이(주식 어린이)들을 위한 주식 용어를 알아보는 코너입니다. 저와 함께 주식 관련 용어들을 처음부터 하나하나 쉽게 알아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카테고리에서는 주식 초보자 분들을 위해서 아주 기본적인 용어부터 하나하나 알아갈 예정입니다. 우선 지난 포스팅에서는 재무제표에서의 자산과 부채, 자본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포스팅을 게재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하기 링크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6/30 - [주린이 주식공부] - [주린이 주식용어] 자산, 부채, 자본이란? 의미와 뜻

 

[주린이 주식용어] 자산, 부채, 자본이란? 의미와 뜻

최근에 주식을 시작한 주린이(주식 어린이)들을 위한 주식 용어를 알아보는 코너입니다. 저와 함께 주식 관련 용어들을 처음부터 하나하나 쉽게 알아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주 기본적인 용어�

gonggongpolicy.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 용어 중에서 PER과 BPS, PBR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본 용어들을 이해하기에 앞서서 자기자본수익률(ROE), 총자산순이익률(ROA), 주당이익률(EPS) 등의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는 제가 따로 포스팅한 글이 있으니 링크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06/30 - [주린이 주식공부] - [주린이 주식용어] ROE ROA EPS란? 의미와 뜻

 

[주린이 주식용어] ROE ROA EPS란? 의미와 뜻

최근에 주식을 시작한 주린이(주식 어린이)들을 위한 주식 용어를 알아보는 코너입니다. 저와 함께 주식 관련 용어들을 처음부터 하나하나 쉽게 알아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주 기본적인 용어�

gonggongpolicy.tistory.com

먼저, PER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라디오나 뉴스 등에서 주식에 대한 소식이 나올때 무심결에 "퍼"라고 하는 용어를 간간히 들으셨을 것 같습니다. "퍼가 몇배" 이렇게 표현되곤 합니다. PER는 Price earning ratio의 줄일말로, 한국어로는 주가수익비율을 뜻합니다. 이는 주식에서 특정 회사 주식의 가치가 어떻게 평가되는지를 알 수 있는 잣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PER을 구하는 공식은 과거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EPS를 이용해 구할 수 있습니다. PER은 주가 나누기 EPS입니다. 즉, 특정 기업의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이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쉽게 설명하자면 특정 회사의 주가가 주당순이익의 몇배가 되는지를 뜻합니다. 회사의 주식 가격과 주당순이익을 비교하는 셈으로, 사용되는 단위는 '배'입니다. PER이 높을수록 주당순수익에 비해 주식의 가격이 비교적 고평가, 낮을수록 비교적 저평가 된 주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BPS는 Book-value share의 줄임말로 한글로는 주당순자산가치 혹은 주당청산가치를 뜻합니다. EPS는 만약 회사가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남아 있는 자산을 모든 주주에게 나누어준다고 가정했을때 1주당 얼마씩 배분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공식을 보면 훨씬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EPS는 순자산 나누기 주식수입니다. 순자산이란 재무제표상의 자본총계를 뜻하며, 자본총계는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제외한 금액입니다. 따라서 자산에서 부채를 제외한 금액을 총주식수로 나누었을때 주당순자산가치를 알 수 있습니다.

 

BPS는 회사의 청산시 1주당 챙길 수 있는 금액을 뜻하는 만큼, 단위는 '원'을 사용합니다. 이 값이 높을 수록 청산 가치가 높다고 표현할 수 있으며, 반대로 낮을 수록 청산 가치가 낮다는 의미가 됩니다.

 

PBR은 Price book-value ratio의 줄임말로 한글로는 주가순자산비율 뜻합니다. 이는 현재 주가가 주당 순자산가치의 몇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의미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공식을 이해하시면 보다 파악이 빠르실 것 같습니다. PBR은 주가 나누기 BPS입니다. 즉, 주가에서 주당청산가치를 나눈 값으로, 현재 주식의 금액과 회사의 주당청산가치가 동일하다면 당연하게도 그 값은 1이될 것입니다.

 

PBR의 단위는 주가순자산비율인 만큼 '배'를 사용합니다. PBR의 값이 클수록 고평가, 낮을수록 저평가되었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드렸든 주식 금액과 회사의 주당 청산가치가 동일하다면 1이 된다고 했으므로, 만약 1보다 작은 값을 나타낸다면 주가가 장부상 기재된 가치보다 낮게 평가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